중국의 한 지방대 기숙사에서 옷을 갈아입는 여대생들의 나체사진 등이 인터넷을 통해 유포돼 중국 전역이 시끄럽다. 문제의 사진은 하이난(海南)성 하이난사범대학의 한 신입생이 자신의 기숙사 건너편에 위치한 여학생 기숙사에 있는 여대생 40명의 모습을 몰래 찍은 것이다. 그는 모두 453장의 사진을 찍...
“자살하겠다던 아이가 침착해지더군요. 저는 팔굽혀펴기를 시작했죠. 세개째 했는데 갑자기 ‘나 간다’ 하더니 강물로 뛰어들었어요.” 최근 구이저우(귀주)성 주민 항의시위로 궁지에 몰린 치안당국이 1일 발표한 수사결과에 중국 사회가 코웃음을 치고 있다. 중국 공안은 구이저우성 웡안현에서 지난달 숨진 채 발견...
대만 정부는 징병 시스템을 완전 모병제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6년 내에 3만6천명을 감축, 군 병력을 20만명선으로 유지키로 했다고 대만 일간 자유시보(自由時報)가 2일 보도했다. 대만 일각에선 양안관계가 급진전되면서 대만의 국방 안보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
중국 광시·좡주(廣西·壯族)자치주 관양(灌陽)현 신제(新街)향 덩자(鄧家)촌에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지난 1일 학생 60여명이 독이 든 것으로 보이는 식수를 마시고 식중독 증세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 학교 학생 34명은 학교 식당에서 아침 식사 때 식수를 마신후 복통...
최근 중국 구이저우성 웡안현에서 격렬한 주민 시위를 촉발한 여중생 살해사건의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여중생의 주검을 탈취하려는 공안에 맞서 병원을 지키고 있고, 유족들은 관리들이 9천위안(137만원)을 줄테니 사건을 덮자고 회유했다고 폭로하고 나섰다. 숨진 여중생의 아버지는 1일 홍콩 <...
홍콩이 비에 흠뻑 젖었다. 이달 들어 28일까지 홍콩에는 125년 만에 가장 많은 1245㎜의 비가 내렸다. 지금까지 최고 강우량을 기록했던 1889년 5월의 1241.1㎜보다 4㎜ 가까이 많다. 이달 들어 비가 내리지 않은 날은 28일 가운데 6일에 불과하다. 이같은 홍콩의 기록적인 강우량은 앞서 필리핀을 강타했던 태...
중국 남서부 쓰촨(사천)·윈난(운남)과 경계를 맞댄 구이저우(귀주)성에서 공안의 편파수사에 항의해 주민 1만여명이 공안국 청사를 불태우는 등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고 홍콩 <명보>가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28일 오후 구이저우성 웡안현에서 공안 당국의 강간살인범 수사에 불만을 품은 주민 1만여명이 공...
중국이 28일 ‘냐오차오’(새둥지)로 불리는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 ‘국가체육장’을 준공했다.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이날 오전 국가체육장에서 준공식을 열고 모든 시설에 대한 최종 점검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올림픽 경기가 열릴 37개 경기장이 모두 선수단을 맞을 채비를 갖췄다. 35억위안(약 5...
중국의 2008년 대입시험(가오카오)에서 조선족 여학생이 랴오닝 성 최고점수를 획득했다. 29일 선양시 조선족 제1중학교에 따르면 이 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강연(姜姸.18)양이 올해 대입시험에서 랴오닝성에서는 문과와 이과를 통틀어 가장 높은 점수인 695점을 얻었다. 이번 대입시험에서 랴오닝성 이과 장...
중국이 베이징 올림픽 개막에 즈음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철’을 개통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7일 베이징과 톈진을 30분 안에 주파하는 ‘징진(京津) 고속철’이 8월 안에 공식 개통할 예정이라며, 이 고속철이 상용속도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전했다. 이 고속철은 26일 시험 운행...
중국은 26일 오후 6시(한국시간) 북핵 문제 및 6자회담과 관련한 중대 발표를 하겠다고 밝혔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아직도 핵프로그램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오후 6시 외교부에서 긴급브리핑을 통해 ...
중국이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인터넷에 대한 통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중국내 B형 간염이나 에이즈 환자들을 위한 비정치적인 사이트조차도 석연치 않은 이유로 차단되고 있다. 인터넷에서 올림픽 공안정국이 펼쳐지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중국내 B형 간염 환자들이 주로 접속하는 토론 사이트가 지난달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