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6일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무소속 의원들의 복당을 전격 허용한 데 대해 당혹해하는 모습이었다. 특히 비박근혜계(비박계)의 핵심인 유승민 의원을 복당시킨 것에 분노와 우려의 기류가 묻어났다. 청와대는 이날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침묵을 지켰다. 한 청와대 참모는 “당에서 결정한 것...
영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발표를 앞두고 대구·경북과 부산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청와대가 ‘후폭풍’ 수습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 중 어느 곳이 선정되더라도 여권의 핵심 텃밭인 영남의 ‘분열’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신공항 입지 선정은 경제논리에 따라 결정되는 ...
20대 국회 시작부터 점화된 개헌 논의에 대해 청와대 쪽은 “(개헌할 상황이 아니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헌법 개정안 발의 권한이 대통령뿐 아니라 국회에도 있는 만큼, 국회 차원의 움직임을 막을 수는 없지만 청와대가 개헌 논의에 뛰어들진 않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정무, 미래전략, 교육문화수석을 교체하는 청와대 참모진 추가개편을 단행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신임 청와대 정무수석에 김재원 전 의원을 임명했다. 이로써 현기환 전 수석은 작년 7월 임명 이후 11개월 만에 교체됐다. 또한, 미래전략 수석에는 현대원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교육문화...
국회 상임위원회가 ‘소관 현안’에 대해 청문회를 열 수 있도록 한 국회법 개정안(청문회 활성화법)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국회 재의 요구)을 행사했다. 박 대통령의 거부권 ‘강행’으로, 오는 30일 개원하는 20대 국회는 출발선부터 여야 ‘협치’ 대신 ‘대치’ 국면에서 첫발을 떼게 됐다. 정부는 27일 오전 황...
정부는 국회가 19일 의결한 국회법 개정안(청문회 활성화법)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했다.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아프리카 순방 중인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청문회 활성화법 재의요구안을 의결했다.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청문회 활성화법의 공포를 의결하지 않고, 재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