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노다 정부가 ‘2030년대 탈원전’을 목표로 한 새 에너지정책을 마련하고도 다음 정권에 구속력이 있는 각료회의 결정에서 그 핵심 내용을 빼버린 것은 미국의 요구에 따른 것이라고 <도쿄신문>이 22일 보도했다. <도쿄신문>은 “노다 요시히코 내각이 ‘2030년대에 원전 제로’를 목표로 한 새 전략을 각...
지난 11일 일본 정부가 센카쿠열도의 국유화를 단행한 이후 19일까지 중국 각지에서 대규모로 벌어진 시위가 중국 정부가 조종한 ‘관제시위’라는 의혹이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다. <교도통신>은 20일 베이징발 기사에서 “푸젠성의 반일 시위에 참가했던 한 남자가 ‘100위안을 받고 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있다’...
중국 정부가 강력한 단속에 나서면서 18일 절정에 이르렀던 중국의 반일시위가 19일부터 급속히 진정되고, 중·일 양국간 공식 행사도 재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에 해양감시선 및 어업감시선의 파견을 더 늘리면서, 이 해역의 긴장은 장기화돼가고 있다. 중국에...
“일본 정부가 불법적으로 중국의 댜오위다오를 ‘매입’(국유화)한 것은 양국의 경제·무역관계에 반드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중국 상무부의 선단양 대변인은 19일 일본에 대한 ‘경제 보복’ 조처를 시사했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 “우리는 이런 상황을 바라지 않지만, 모든 책임은 일본에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
중국의 반일시위대 일부가 폭도화하면서, 중국에 진출한 일본계 기업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양국간 충돌이 장기화할 경우, 일본 기업들이 중국 진출을 주저하고 이미 진출한 일본 기업들도 탈중국이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10년 9월 어선 충돌 사건 때도 일부 비슷한 움직임...
북한과 일본이 국장급 회담을 열어 양국간 현안을 논의하기로 지난달 말 합의했지만, 평양선언 10주년을 맞은 17일까지 회담을 재개하는 데 결국 실패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7일 논평에서 “납치문제를 계속 집요하게 들고나와 불순한 정치적 목적에 악용하고 있다”며 납치문제를 의제에 포함시키자는 일...
지난 14일 ‘2030년대에 원자력발전소를 모두 없앨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내용의 새 에너지정책을 발표한 일본 정부가 이미 착공한 원전은 건설을 계속하겠다고 밝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들 원전이 완공돼 40년을 가동한다면 2050년대까지도 ‘원전 제로’가 불가능한 까닭이다. 에다노 유키오 ...
1972년 9월29일 중국과 일본이 국교를 정상화한 이후 중국에서 대규모 반일시위가 일어난 것은 이번이 세번째다. 첫번째 대규모 반일시위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 시절인 2005년 3월 하순에 시작돼 4월 중순까지 이어졌다. 고이즈미 당시 총리가 2001년 취임 뒤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자 중국은 정상회담을 거...
일본의 섬 국유화에 반발해 중국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을 자국의 영해라고 주장하는 새 해도를 유엔에 제출하자,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이달 하순 유엔총회에서 직접 이에 대응하는 연설을 하기로 했다. 일본은 그동안 ‘센카쿠열도에는 영토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혀왔으나, 이 사안...
일본은 2030년대에 원전을 모두 없애는 것을 목표로 에너지 정책을 펴나가기로 하고, 지난 12일 미국에 총리보좌관을 파견해 새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미국이 안전보장 및 원전산업에 미칠 영향을 들어 많은 우려를 나타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4일 보도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일본의 사용후핵연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