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원내대변인의 ‘귀태’ 발언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정국의 중심에 섰던 청와대가 주말을 넘기며 ‘관망 모드’로 돌아섰다. 발언 당사자인 홍익표 의원이 원내대변인직을 내놓았고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유감 표명이 있었던 만큼, 이제는 국회에서 여야가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수순이라며 발을 빼는 분위기다. 여...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 발표와 관련해 청와대가 MB 정부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자신의 발언을 보도할 때 실명을 인용해달라고 언론에 요청해 눈길을 끌었다. 통상 익명 보도를 전제로 발언을 해온 것에 비춰보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이 수석은 감사원의 감사 발표 직후...
박근혜 대통령이 원전 비리에 대한 ‘발본색원’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원전 안전에 대한 국제 규범과는 동떨어진 해법을 내놓아 논란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원전 업계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 체계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현재 원전 주무부처인 ...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랜 침묵을 깨고 국가정보원 개혁 문제를 공식화하면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국내정치 개입’과 각종 ‘공작 의혹’으로 도마에 오르곤 했던 국정원 개혁이 어느 정도 수위까지 추진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이 내놓은 지시 내지 주문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국정원이 개...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지난해 대선 개입에 이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대화록) 무단 공개로 정치관여 논란에 휩싸인 국가정보원에 대해 “이번 기회에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며 개혁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오전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과거 정권부터 국정원은 많은 논쟁의 대...
원자력 관련 비리를 뿌리뽑겠다고 나선 정부가 정작 원자력 감시·규제를 위한 핵심 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위원장 이은철)를 구성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가 원안위원 후보를 추천받고도 검증 등을 이유로 임명을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위원회 구성 때 지켜야 할 법정 시한도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