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여 만의 정권교체로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인사 문제로 불협화음이 불거지고 있다. 새 정부 내각 등 공직 인선에 당의 추천을 공식화하기 위한 인사추천위원회 설치 문제를 두고 설왕설래를 벌이다 결국 없던 일이 됐다. 이번주 원내대표 경선 등을 앞두고 당내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신경전도 치열하다.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참모들과 점심식사를 하면서 특검 시한 연장 불발로 인한 국정농단 수사 미진, 세월호 특조위 중단 등에 대한 재조사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조국 민정수석은 12일 이른바 ‘정윤회 문건’ 사건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박관천 전 경정과 수사검사 등을 불러 진상을 가...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취임 뒤 첫 외부 일정으로 인천공항공사를 방문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정일영 사장은 간접고용 노동자 1만명을 올해 안에 직접고용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문 대통령이 일자리 문제를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고 굳게 약속하긴 했지만, 이렇게...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 역주행 사례로 꼽혔던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지하라고 업무지시를 내렸다. 또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도록 하라는 지시도 함께 했다. 이는 취임 후 두번째 업무지시로 박근혜 정부 아래서 쌓였던 적폐 청산을 본격화하겠다는 신호탄으로 해석...
‘일하는 청와대’ 구상을 담은 청와대 직제개편안이 국무회의에서 통과됐다. 부처별 관리 체제를 정책과제에 맞추는 등 내각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내각이 사실상 청와대의 ‘하부기관’으로 전락했던 과거 정권의 잘못을 바로잡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청와대 조직은 ‘3실·10수석'에서 ‘4실·8수석·2...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이틀 동안 미·중·일 정상들과 잇따라 통화하고 한반도를 둘러싼 현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미·중 정상과는 조속한 시일 안에 정상회담을 열자는 데 합의했다. 북한 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외교·안보 문제가 최대 현안인 만큼, 한국과 주변국 정상들이 전화 접촉을 통해 정상회담 개최...
문재인 대통령이 첫 국무총리로 이낙연 전남지사를 지명했다. 선거기간 중 밝힌 ‘비영남 총리’ 약속을 지키면서 ‘영남 대통령-호남 총리’란 모양새를 갖춘 셈이다. ‘대통합, 대탕평’을 국정운영의 최우선에 두겠다는 의지를 내보이는 동시에 ‘통합과 공존의 새로운 세상’이란 국정 청사진의 첫 단추에 부합한다고 평가할...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당선과 동시에 19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국회에서 진행된 취임선서식에서 그는 ‘통합과 공존’을 취임 일성으로 내놓았다. 취임선서식에 앞서 야4당을 찾았고, 국무총리 등 몇몇 주요직 인선도 발표했다. 선거 끝나자마자 곧바로 취임한 탓에 어수선할 수 있지만, 비교적 무난한 출발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