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3일 주요 품목별로 담당자를 정해 관리하는 ‘물가관리 책임실명제’를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배추 등 생필품을 포함한 물가가 올라도 책임지는 사람을 못 봤다.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품목별 물가 관리의 목표를 정해 일정 가격 이상 오르지 않도록 ...
청와대가 22일 천안함·연평도 사태와 관련해 “최종적 책임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남북관계 최대 걸림돌인 천안함·연평도 사태의 책임을 김정일 위원장에게 한정지음으로써 꽉 막힌 출구를 열어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김정일 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배경 설명...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낮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이 전해진 뒤 공식 일정을 모두 취소한 채 긴급히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청와대도 즉각 ‘비상체제’로 전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을 보고받은 즉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했다. 회의에...
정부는 19일 오후 비상국무회의를 열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른 대비 태세를 논의하는 등 온종일 긴박하게 움직였다. 군 당국은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전군에 비상경계태세 2급을 발령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오후 3시 청와대에서 비상국무회의를 주재하고 북한 내부 동향과 군과 경찰의 비상경계태세 ...
청와대는 ‘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 수사에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연루됐다’는 보도를 강하게 부인하고 나섰다. 청와대는 <한겨레21> 보도가 나온 17일 곧바로 공식 보도자료를 내어 “청와대가 디도스 공격 수사에 압력을 넣었다는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번 사건과 관련해 어떠한 영향력도 행사한 ...
이명박 대통령이 18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우선적 해결을 강력히 촉구했다. 노다 총리는 이에 맞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평화비’ 철거를 요구하고, 회담 뒤 기자회견에선 독도 영유권 문제까지 언급했다. 한-일 관계가 이번 회담을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