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와 넙치 따위 바닷물고기들을 3차원으로 만나보세요.” 전남도는 26일 서남해안에 서식하는 해양어류 700여종의 문자·그림·영상 자료 1만4천여건을 담은 교육용 누리집 ‘실감나는 바다세상’(oceanlife.or.kr)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도는 지난해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지식정보자원 데이타베이스 사업공모에서 7...
광주시는 27일부터 광주천 동구 방림교~서구 덕흥2보 구간에 설치한 자전거 전용도로 12㎞와 보행자 산책로 8㎞에서 오토바이 통행을 단속한다. 시는 산책하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소음·매연을 유발하는 오토바이를 단속해 달라는 민원이 잇따르자 행정·경찰 공무원 40명으로 합동단속반을 편성했다. 시는 한달...
전교조 광주·전남지부가 차등성과급 8억여원을 교육양극화 해소기금으로 지역사회에 내놓는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25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차등성과급 반납투쟁을 통해 모은 2억1천여만원 중 8800만원을 △결식학생 중식비 2600만원 △지역공부방 운영비 2100만원 △장애인 야학 지원비 500만원 △...
전남 신안의 맑고 푸른 바다에서 빚어낸 천일염이 식품으로 인정받아 ‘백색의 황금’으로 거듭난다. 전남도는 23일 “염관리법 개정을 계기로 5년 안에 천일염의 매출을 1천억원대에서 1조원대로 올리겠다”며 “짠맛을 내는 식품을 넘어서 의료·미용·건강 분야에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해 국내외에 진출하겠다”고 ...
영세 교복제조 업체들이 전남 대부분 학교에서 학부모의 부담을 덜 수 있는 교복 공동구매를 외면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사)한국교복협회 회원 40여명은 20일 목포시교육청 앞에서 교복공동구매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목포시내에서 교복을 공동구매하는 학교는 한 곳도 없다”며 “이 때문에 학생들은 다...
광주지역 시내버스의 위치발신 단말기들이 잦은 오류를 일으킨 탓에 설치한 지 9달만에 모두 교체된다. 광주시는 18일 “지난해 7월 민자 20억원을 들여 시내버스 도착안내시스템(BIS)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치했다”며 “이 시스템이 지난해 12월부터 일부 노선에서 도착 정보를 멋대로 제공한다는 비판이 높아 장애 원...
“3차원 게임·만화·영화 따위 첨단 영상물을 보여줍니다.” 광주시는 14일 오전 11시 동구 서석동 옛 광주세무서 터 1598㎡에 지상 6층 지하 2층 연면적 6063㎡ 규모로 영상복합문화관을 착공한다. 시는 내년 7월까지 193억원을 들여 고화질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캐릭터, 손수제작물 등 첨단 영상문화를 시연하고, 각...
광주시 행정부시장에 14일 최종만(52) 행자부 자치경찰제 실무추진단장이 취임한다. 최 부시장은 전남 순천 출신으로 서울대 조선공학과와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졸업한 뒤 일본 센슈대학 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22회로 광주시 동구청장, 광주비엔날레 사무처장, 행자부 장관 비서관, 청와대 민정수석...
광주시교육청은 12일 “2010년까지 수완·하남·진월·용두·문흥 등지 택지지구에 초·중·고 17곳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대규모 신흥택지의 과밀학급을 해소하고 통학여건을 개선하려고 3년 동안 단계적으로 학교를 늘린다”며 “특히 수완지구는 초등 5곳, 중학 3곳, 고교 2곳 등 학교 10곳을 신설해 입주하는 ...
광주시내 관공서주차장과 공영주차장의 무료 개방이 확대된다. 광주시는 11일 “광주시청·남구청·향토문화거리·송정5일시장 등지 관공서주차장과 공영주차장 45곳을 24시간 무료로 개방한다”고 밝혔다. 또 옛 도심에 가까운 동구청은 토·일요일과 공휴일에 주차료 없이 문을 연다. 교통량이 비교적 많은 광주역·양동·...